
TypeDI 내부 구조 분석: typeDI 코드 분석을 통한 의존성 주입(DI)이 되는 과정
·
🌟🙇🏻♂️ 꼭 읽어봤으면 하는 글
의존성 주입(DI)에 대해 이론적으로는 알고 있지만, 실제로 내부에서 어떻게 동작하는지 이해하기는 쉽지 않았습니다. 이 글에서는 TypeDI 오픈소스 코드를 직접 분석하며 데코레이터와 컨테이너가 어떻게 의존성을 관리하는지 파헤쳐봅니다. NestJS 팀에서 DI 개념을 TypeDI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하여 TypeDI를 분석하게 되었습니다. 소스코드를 10번 이상 직접 따라치며 얻은 내용을 공유합니다. 평소에 당연하게 사용하던 @Injectable(), @Service() 같은 데코레이터들이 실제로는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지 핵심 로직 위주로 설명했습니다.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 💡 이 글은 다음과 같은 분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TypeDI나 NestJS 같은 DI 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