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연말회고
·
✍🏻/회고록
자잘자잘하게 따져보면 flutter, JSP, 노코드 등등도 있다 완벽히 NestJS + TS 개발자가 되었다.올해는 특히 TyepsScript 핸드북 Doc을 모두 정독하고, 사내 시험을 보면서 TS와 TS 모듈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가지게 되었다. 외부 시스템 연동 오퍼월과 기프티콘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 외부 업체와 협업한 일이 많았다.소통 단계에서 요구해야할 사항들(ex: 개발계/운영계/테스트계 화이트리스트 IP등록)과외부 업체와 메일 소통의 방법에 대해 많이 배우게 되었다.또한 기프티콘 시스템을 도입하게 되면서 도메인에 대한 이해와 예외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상황들을 경험하게 되었다.(ex: 업체의 문제로 상품 구매가 안될 경우가 존재 : 임시발급 단계 -> 발급과정을 거치고, try-c..
2년 치 회사 DB 날려서 법원 갈 뻔한 사람이 기록하는 회고록
·
✍🏻/회고록
'딸깍' 약 200GB 데이터가 84KB가 되었던 순간.대략 99.99996%를 날려버린 나는, 타노스보다 더 한 악당이 되었다. 사건의 시작 - 부제: 앱 접속 시 회원가입이 되는데요?2024 07.29 11시 30분 아침 회의 이후 화장실 가신 CTO님이 급하게 들어오시면서  '다들 앱 실행해 보세요!'라고 외치셨다나는 "응? 무슨 일이지" 하는 마음으로 앱을 열었는데, 회원가입이 되는 걸 보았고, 뭔가 단단히 잘못되었다고 느꼈다.그 순간 운영 업무 하는 분이 '갑자기 고객문의가 계속 들어오고 있어요!' 말을 전해주면서 등에 식은땀이 나기 시작했다. 11시 31분 - select * from users limit 10; result = 0;DB 유저 정보를 조회하는데 하나도 뜨지 않았다."응?","로..
백엔드 게시판 DB 스냅샷 구조 vs 히스토리 구조 차이점 및 정리
·
🌟🙇🏻‍♂️ 꼭 읽어봤으면 하는 글
안녕하세요,이번 포스팅에서는 NestJS 개발 중 알게 된 스냅샷과 히스토리 개념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NestJS 개발 커뮤니티에서 유명한 '삼촌님'의 깃허브 레포지토리를 참고하면서 스냅샷 방식을 도입하게 되었습니다.이전에는 히스토리성 로그 방식의 테이블을 사용했는데요,이번 글에서는 두 방식의 차이점과 각각의 특징, 그리고 도입 예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냅샷과 히스토리성 테이블의 차이점데이터 저장 방식히스토리 테이블: 변경된 내용만 순차적으로 기록합니다. "어제 뭐 했더라..." (매일매일 일기 쓰는 느낌)스냅샷: 특정 시점의 전체 상태를 저장합니다. "자, 여기 내 전재산!" (인생 통장 사진 찍기)조회 성능히스토리 테이블: 최신 상태를 얻기 위해 여..
Azure OpenAI Error - Resource Not Found - Error Code - 404 해결하기
·
💻 개발/설정 및 세팅
회사에서 Azure 크래딧을 받게 되어 openAI를 이용해서 댓글 생성해주는 서비스가 있는데플랫폼을 chatGPT -> Azure openAI로 변경하게 되었다.Azure openAI를 적용한 과정과 404 resource not found 에러를 마주하게 되었는데,해외에서도 비슷한 에러로 질문 글을 작성한 것들을 알게 되었다.하지만 해외 공문 QnA를 봐도 마땅히 도움이 되지 않아서 해결하게 된 포스팅을 작성하게 되었다.     🌠 목차✅ Azure openAI 사용을 위한 권한 신청하기✅ openAI 적용을 위한 Studio 예제 소스코드 보기✅ 404 resource not found 해결하기(feat. 공식문서 보고 하다 개삽질한 경험)  Azure openAI 사용을 위한 권한 신청하기1. ..
스타트업에서 QA 하기(백엔드 개발자의 QA 경험담: 작지만 강한 스타트업의 QA 전략)
·
✍🏻/회고록
안녕하세요, 백엔드 개발자입니다.'QA 관련 포스팅이 웬일?' 이라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대부분의 스타트업에서는 전담 QA 인력을 채용하기 어려운 현실입니다.그래서 개발자들이 QA를 겸하는 경우가 많은데요,이번 포스팅에서는 제가 QA를 진행하면서 얻은 인사이트와 경험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전문 QA 시트는 보통 depth 1,2,3,4,5로 세분화되어 있지만,개발자가 겸하는 QA에서는 이를 그대로 적용하기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었습니다.그래서 제가 채택한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진입점: 화면 진입 경로영역: 테스트 대상 UI 영역케이스: 일반/특수/예외 상황 통합체크리스트: 검증 항목반영사항체크: 구현사항 검증비고: 특이사항UI-발생상황: 현재 상태(AS-IS)UI-기대효과: 개선 방향(TO-BE) ..
행동하고 많이 실패하는게 중요한 이유 | feat. 스티브잡스
·
✍🏻/회고록
https://www.youtube.com/watch?v=5z1irvHuwB4행동으로 옮겨야 합니다.그리고 실패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우연히 유튜브 알고리즘에 떠서 보게 된 스티브잡스의 생전 영상이다.3분이라는 짧은 영상에서 얻은 인사이트와 사회생활을 하고 있는 직장인으로서 고민을 작성해보려고 한다. 나라는 별반 특별할 거 없는 사람이 사회에 나오고 나서 과거에 대한 후회, 미래에 대한 고민을 안 해본 적이 없는 것 같다.사회에 나오기 전까지만 해도 스스로를 특별하다고 생각해 왔는데, 사회의 벽은 차갑기만 했다.뭔가 시도는 많이 하는 것 같은데 큰 성과도 안 보이고, 매번 실패하는 인생만 살아왔던 것 같다. [나라는 사람은?]지금으로부터 10년 전 즉 고등학교 1학년 시절,자동차 간의 의사소통을..
[백엔드]기프티콘 도메인에 대한 이해 & 정리 & 회고
·
✍🏻/회고록
기프티콘 도메인을 개발하게 되면서 알게 된 내용과 회고에 대해 작성해보려 한다.현재 서비스에 기프티콘을 처음 도입하게 되면서 스키마 정의부터 다양한 예외 케이스 등을 알기 위해 검색을 해보았다.하지만 인터넷에는 딱히 볼 만한 내용이 검색되지 않아서추후 또 비슷한 도메인 업무를 할 경우 참고용이자,기프티콘 도메인을 개발하게 될 어떤 개발자분에게 도움이 되고자 작성해 보았다. 참고로 너무 디테일하게 작성하게 될 경우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누락된 내용이 있습니다. 맥락을 봐주세요. 🌠 목차✅ 도메인 테이블 설계✅ 각 테이블의 의미✅ API 목록 별 로직 플로우✅ [회고] 기프티콘 도메인을 개발하며   도메인 설계* 다음 테이블 목록은 참고용이므로 내부 요구사항에 맞게 수정해야 합니다.* 연관관계는 크게 ..
영업이익, 공헌이익, JTBD의 연관관계에 대하여
·
✍🏻/회고록
서론3년 동안의 회사 생활에서 'JTBD'는 나에게 생소한 단어였다. 일하면서 한 번쯤은 들어봤지만, 현 회사에 오기 전까지는 JTBD에 대해 깊게 고민한 적이 없었다.나는 스타트업과 SI를 거쳐 다시 자체 앱 플랫폼을 운영하는 스타트업에서 일하고 있다.여기서 나의 주 업무는 백엔드/서버이다.이 글을 읽고 있는 독자들은 백엔드/서버와 JTBD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궁금해서 들어오게 된 사람들이라고 생각한다.최대한 쉽고, 내가 이해한 걸 바탕으로 작성해보겠다. 이 글은 제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한 것이므로,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지적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JTBD란?'Jobs To Be Done'의 약자로, 고객이 특정 제품과 서비스를 어떤 상황과 맥락에서 사용하려는지, 그 이유를 이해하고 ..